쓰치미카도 천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쓰치미카도 천황은 1198년 고토바 천황의 양위로 즉위하여 1210년 퇴위한 일본의 제83대 천황이다. 재위 기간 동안 아버지인 고토바 상황의 원정(院政)이 이루어졌으며, 온화한 성격으로 인해 막부와의 관계 개선을 기대했으나, 고토바 상황의 강요로 동생인 준토쿠 천황에게 양위했다. 조큐의 난 이후에는 도사국과 아와국으로 유배되었으며, 1231년 아와국에서 3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아들인 고사가 천황은 후에 즉위하여 황위 계승을 이어나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96년 출생 - 헨리크 2세
헨리크 2세는 1238년부터 1241년까지 폴란드 고공작으로, 헨리크 1세의 아들이자 후계자였으며, 몽골 제국의 폴란드 침공 당시 레그니차 전투에서 전사했다. - 1196년 출생 - 스뱌토슬라프 3세 (블라디미르 대공)
스뱌토슬라프 3세는 프세볼로트 3세 대공의 아들이자 노브고로드 공작(1200년~1205년, 1207년~1210년)이었으며, 1246년 블라디미르 대공에 즉위했으나 1248년 축출되었고, 1230년부터 1234년까지 유리예프폴스키에 성 게오르기우스 대성당을 건립했다. - 고토바 천황의 자녀 - 준토쿠 천황
가마쿠라 시대의 일본 천황인 준토쿠 천황은 고토바 상황의 아들로, 가마쿠라 막부와 대립하다 조큐의 난으로 유배되어 생을 마감했지만 학문과 예술에 힘썼다. - 고토바 천황의 자녀 - 쇼시 내친왕 (1195년)
쇼시 내친왕은 고토바 천황의 황녀이자 하치죠인의 양녀로, 준토쿠 천황의 준모로서 황후궁에 책봉되어 슌카몬인이라는 원호를 받았으며, 하치죠인의 소령 대부분을 상속받았으나 17세의 나이로 요절했다. - 고토바 천황 - 준토쿠 천황
가마쿠라 시대의 일본 천황인 준토쿠 천황은 고토바 상황의 아들로, 가마쿠라 막부와 대립하다 조큐의 난으로 유배되어 생을 마감했지만 학문과 예술에 힘썼다. - 고토바 천황 - 조큐의 난
조큐의 난은 1221년 고토바 상황이 가마쿠라 막부를 타도하려다 실패하여 조정이 막부에 종속된 사건이다.
쓰치미카도 천황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휘 | 다메히토 (為仁) |
묘호 | 쓰치미카도 (土御門) |
별칭 | 도사노인 (土佐院) 아와노인 (阿波院) |
능묘 | 가네가하라 능 (金原陵) |
추증 시호 | 쓰치미카도인 (土御門院) 또는 쓰치미카도 천황 (土御門天皇) |
통치 정보 | |
재위 기간 | 1198년 2월 18일 ~ 1210년 12월 12일 |
일본식 재위 기간 | 겐큐 9년 1월 11일 ~ 조겐 4년 11월 25일 |
즉위례 | 1198년 4월 10일 (겐큐 9년 3월 3일) |
대嘗祭 | 1198년 12월 21일 (겐큐 9년 11월 22일) |
시대 | 가마쿠라 시대 |
연호 | 겐큐 쇼지 겐닌 겐큐 겐에이 조겐 |
수도 | 교토 |
황거 | 헤이안 궁 |
선대 천황 | 고토바 천황 |
계승 천황 | 준토쿠 천황 |
원정 (院政) | |
상황 (上皇) | 고토바 천황 (1198년–1221년) |
막부 | |
쇼군 |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1192년-1199년) 미나모토노 요리이에 (1202년-1203년) 미나모토노 사네토모 (1203년-1219년) |
집권 | 호조 도키마사 (1203년-1205년) 호조 요시토키 (1205년-1224년) |
조정 | |
섭정 | 고노에 모토미치 (1198년–1202년) 구조 요시쓰네 (1202년–1206년) 고노에 이에자네 (1206년) |
관백 | 고노에 모토미치 (1196년–1198년) 구조 요시쓰네 (1202년-1206년) 고노에 이에자네 (1206년–1221년) |
태정대신 | 후지와라노 요리자네 (1199년-1204년) 구조 요시쓰네 (1205년) 후지와라노 요리자네 (1209년) |
생애 | |
출생 | 1196년 1월 3일 |
사망 | 1231년 11월 6일 |
사망 장소 | 아와국이타노군 이케타니 마을 |
장례 | 1234년 1월 13일 |
가족 관계 | |
아버지 | 고토바 천황 |
어머니 | 미나모토노 아루코(源在子) (承明門院) |
배우자 | 오오이미카도(후지와라) 레이시(大炊御門(藤原)麗子) |
자녀 | 고사가 천황 외 다수 |
2. 약력
1198년 고토바 천황의 양위로 4세에 즉위하였으나, 재위 기간 내내 고토바 상황에 의한 인세이(院政일본어)가 이어졌다. 온화한 성격으로, 막부와 조정의 긴장 관계가 풀어질 것을 염려한 고토바 상황의 요구로 1210년 동생 준토쿠 천황에게 양위하였다.[6][7]
재위 기간 동안 교토 조정에서는 외할아버지 미나모토노 미치치카가 만도코로일본어(政所) 장관인 벳토(別當) 직을 맡아 권력을 장악했고, 가마쿠라에서는 1199년 막부 초대 쇼군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사후[8] 호조 도키마사(北条時政)를 위시한 호조 가문의 고케닌(御家人) 정치가 행해졌다.
1221년 조큐의 난 당시, 쓰치미카도 상황은 관여하지 않아 처벌 대상이 아니었지만, "아버지(고토바인) 유배에 아들이 교토에 남음은 견딜 수 없다"며 스스로 도사국으로 유배를 청했다.[9] 이후 아와로 옮겨졌고, 가마쿠라 막부는 슈고(守護) 오가사와라 나가쓰네(小笠原長経)에게 명하여 별궁을 짓게 하는 등 후대했다.
1231년 10월, 죽기 직전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고, 향년 37세로 숨을 거두었다.[8] 유해는 화장되어 金ヶ原|가네가하라일본어에 묻혔다. 교토부 나가오카쿄시의 金原陵|가네가하라노 미사사기일본어[10], 도쿠시마현 나루토시의 火葬塚|화장총일본어이 그곳이다.
일련종 개조 니치렌은 쓰치미카도 천황의 아들이라는 설이 있으나 정설은 아니다.
2. 1. 즉위와 퇴위
1198년 고토바 천황의 양위로 4세의 나이에 즉위하였으나, 재위 기간 내내 고토바 상황에 의한 인세이(院政일본어)가 이어졌다. 온화한 성격으로, 당시까지 계속되고 있던 막부와 조정의 긴장 관계가 풀어질 것을 염려한 고토바 상황의 요구로 1210년 동생인 준토쿠 천황에게 양위하였다.[6][7]재위 기간 동안 교토의 조정에서는 외할아버지인 미나모토노 미치치카가 조정(만도코로; 政所일본어)의 장관인 벳토(別當일본어)의 관직을 맡아 권력을 장악하고 있었다. 가마쿠라에서는 1199년 막부 초대 쇼군인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죽은 후[8] 사실상 호조 도키마사(北条時政일본어)를 위시한 호조 가문에 의한 고케닌(御家人일본어) 정치가 행해지고 있었다.
- '''1198년 2월 18일''' (겐큐(建久) 9년 1월 11일): 고토바 천황의 치세 15년에 천황은 양위했고, 그의 장남이 선조를 받았다.[6]
- '''1198년''' (겐큐 9년 3월): 쓰치미카도 천황이 즉위했다고 한다.[7]
- '''1210년''': 고토바는 쓰치미카도에게 그의 남동생에게 양위하도록 설득했고, 그는 준토쿠 천황으로 알려지게 된다.
2. 2. 조큐의 난과 유배
1221년 고토바 상황의 가마쿠라 막부 토벌 시도가 실패로 끝나면서 조큐의 난이 발발하였다. 쓰치미카도 상황은 사건에 관여하지 않았으나, "아버지(고토바인)가 유배되었는데 아들이 교토에 남아 있는 것은 차마 견딜 수 없는 일"이라며 스스로 유배를 청하여 도사국으로 거처를 옮겼다.[9] 이후 시코쿠 동쪽으로 위치상 교토와는 조금 더 가까운 아와로 거처를 다시 옮겼는데, 가마쿠라 막부는 고토바인이나 준토쿠 상황에 대한 처우와는 달리 아와의 슈고(守護) 오가사와라 나가쓰네(小笠原長経)에 명하여 쓰치미카도 상황의 거처로 쓸 별궁을 따로 짓게 하는 등 후한 대접을 보였다.2. 3. 사망
1231년 10월, 당시의 관례에 따라 죽기 직전에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다. 향년 37세(만 35세)로 숨을 거두었다.[8] 유해는 화장되어 金ヶ原일본어에 묻혔다. 현재 교토부 나가오카쿄시에 있는 가네가하라노 미사사기(金原陵일본어)가 그곳이며,[10] 도쿠시마현 나루토시에는 유해를 화장한 곳에 조성한 화장총(火葬塚일본어)이 있다.3. 가계도
쓰치미카도 천황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신분 | 이름 | 출생-사망 | 비고 |
---|---|---|---|
중궁 | 온메이몬인(陰明門院) 오오이시미카도(후지와라) 레이시(大炊御門(藤原) 麗子) | 1185년 - 1243년 | 오이노미카도 요리자네(大炊御門 頼実)의 딸 |
텐지 | 츠치미카도(미나모토노) 토우시(土御門(源) 通子) | ? - 1221년 | 미나모토노 미사무네(源 通宗)의 딸 |
궁인 | 미사쿠쇼시(美作掌侍) 타카시나씨(高階氏) | 타카나시노 나카스케(高階 仲資)의 딸 | |
궁인 | 미나모토씨(源氏) | 미나모토노 사다미츠(源 貞光)의 딸 | |
궁인 | 비쵸노 츠보네(尾張局) | ||
궁인 | 미나모토씨(源氏) | 승려 진에(尋恵)의 딸 | |
궁인 | 치부쿄노 츠보네(治部卿局) 후지와라씨(藤原氏) | 승려 데이쇼(定勝)의 딸 | |
궁인 | 다이쿠노 츠보네(大宮局) 미나모토씨(源氏) | 미나모토노 아리야스(源 有雅)의 딸 | |
궁인 | 후지와라씨(藤原氏) | 승려 엔요(円誉)의 딸 | |
궁인 | 쿠나이쿄노츠보네(宮内卿局) 후지와라씨(藤原氏) | 후지와라노 노리미츠(藤原 範光)의 딸 | |
궁인 | 후지와라씨(藤原氏) | 승려 켄손(兼尊)의 딸 | |
궁인 | 사쿄다이후노 츠보네(左京大夫局) 미나모토씨(源氏) | 승려 쇼엔(証遍)의 딸 | |
궁인 | 단바노 츠보네(丹波局) | ||
자녀 | |||
황녀 | 하루코(슌시) 여왕(春子 女王) | 1210년 - 1230년 | |
황녀 | 오기마치인(正親町院) 카쿠시 내친왕(覚子 内親王) | 1213년 - 1285년 | |
제1황자 | 토닌 법친왕(道仁法親王) | 1209년 - 1263년 | |
제2황자 | 손슈 법친왕(尊守法親王) | 1210년 - 1260년 | |
제3황자 | 토엔 법친왕(道円 法親王) | 1210년 - 1240년 | |
제4황자 | 닌죠 법친왕(仁助 法親王) | 1215년 - 1262년 | |
제5황자 | 세이닌 법친왕(静仁 法親王) | 1216년 - 1296년 | |
제6황자 | 손쇼 법친왕(尊助 法親王) | 1217년 - 1290년 | |
제7황자 | 쿠니히토 친왕(邦仁 親王) | 1220년 - 1272년 | 고사가 천황 |
제8황자 | 사이닌 법친왕(最仁 法親王) | 1227년 - 1295년 | |
황녀 | 히데코(슈시) 여왕(秀子 女王) | ||
황녀 | 노부코(신시) 여왕(信子 女王) | ||
황녀 | 아키코(긴시) 내친왕(曦子 内親王) | 1224년 - 1262년 | |
황녀 | 토모코(치시) 여왕(知子 女王) | ||
황녀 | 쿠도코(쥰시) 내친왕(諄子 内親王) | ? - 1260년 | |
황녀 | 고레코(젠시) 여왕(是子女王) | ||
황자 | 조닌(増仁) | ||
황자 | 카이손(懐尊) | ||
황자 | 세키에(寂恵) |
3. 1. 부모
- 중궁: 온메이몬인(陰明門院) 오오이시미카도(후지와라) 레이시(大炊御門(藤原) 麗子) (1185-1243) - 오오이시미카도 요리자네의 딸
- 텐지: 츠치미카도(미나모토노) 토우시(土御門(源) 通子) (?-1221) - 미나모토노 미사무네의 딸
- 황녀: 하루코(슌시) 여왕(春子 女王) (1210-1230)
- 황녀: 오기마치인(正親町院) 카쿠시 내친왕(覚子 内親王) (1213-1285)
- 제4황자: 닌죠 법친왕(仁助 法親王) (1215-1262)
- 제5황자: 세이닌 법친왕(静仁 法親王) (1216-1296)
- 제7황자: 쿠니히토 친왕(邦仁 親王) (고사가 천황)
- 궁인: 미사쿠쇼시(美作掌侍) 타카시나씨(高階氏) - 타카나시노 나카스케의 딸
- 제1황자: 토닌 법친왕(道仁法親王) (1209-1263)
- 궁인: 미나모토씨(源氏) - 미나모토노 사다미츠의 딸
- 황녀: 히데코(슈시) 여왕(秀子 女王)
- 궁인: 비쵸노 츠보네(尾張局)
- 제2황자: 손슈 법친왕(尊守法親王) (1210-1260)
- 궁인: 미나모토씨(源氏) - 승려 진에(尋恵)의 딸
- 제6황자: 손쇼 법친왕(尊助 法親王) (1217-1290)
- 궁인: 치부쿄노 츠보네(治部卿局) 후지와라씨(藤原氏) - 승려 데이쇼(定勝)의 딸
- 제3황자: 토엔 법친왕(道円 法親王) (1210-1240)
- 황녀: 노부코(신시) 여왕(信子 女王)
- 궁인: 다이쿠노 츠보네(大宮局) 미나모토씨(源氏) - 미나모토노 아리야스의 딸
- 황녀: 센카몬인(仙華門院) 아키코(긴시) 내친왕(曦子 内親王) (1224-1262)
- 궁인: 후지와라씨(藤原氏) - 승려 엔요(円誉)의 딸
- 제8황자: 사이닌 법친왕(最仁 法親王) (1227-1295)
- 궁인: 쿠나이쿄노츠보네(宮内卿局) 후지와라씨(藤原氏) - 후지와라노 노리미츠의 딸
- 황녀: 토모코(치시) 여왕(知子 女王)
- 궁인: 후지와라씨(藤原氏) - 승려 켄손(兼尊)의 딸
- 황자: 조닌(増仁)
- 궁인: 사쿄다이후노 츠보네(左京大夫局) 미나모토씨(源氏) - 승려 쇼엔(証遍)의 딸
- 황녀: 쿠도코(쥰시) 내친왕(諄子 内親王) (?-1260)
- 궁인: 단바노 츠보네(丹波局)
- 황녀: 고레코(젠시) 여왕(是子女王)
- 생모불명
- 황자: 카이손(懐尊)
- 황자: 세키에(寂恵)
3. 2. 배우자 및 자녀
쓰치미카도 천황일본어의 배우자 및 자녀는 다음과 같다.신분 | 이름 | 출생-사망 | 비고 |
---|---|---|---|
중궁 | 온메이몬인(陰明門院) 오오이시미카도(후지와라) 레이시(大炊御門(藤原) 麗子) | 1185년 - 1243년 | 오이노미카도 요리자네(大炊御門 頼実)의 딸 |
텐지 | 츠치미카도(미나모토노) 토우시(土御門(源) 通子) | ? - 1221년 | 미나모토노 미사무네(源 通宗)의 딸 |
궁인 | 미사쿠쇼시(美作掌侍) 타카시나씨(高階氏) | 타카나시노 나카스케(高階 仲資)의 딸 | |
궁인 | 미나모토씨(源氏) | 미나모토노 사다미츠(源 貞光)의 딸 | |
궁인 | 비쵸노 츠보네(尾張局) | ||
궁인 | 미나모토씨(源氏) | 승려 진에(尋恵)의 딸 | |
궁인 | 치부쿄노 츠보네(治部卿局) 후지와라씨(藤原氏) | 승려 데이쇼(定勝)의 딸 | |
궁인 | 다이쿠노 츠보네(大宮局) 미나모토씨(源氏) | 미나모토노 아리야스(源 有雅)의 딸 | |
궁인 | 후지와라씨(藤原氏) | 승려 엔요(円誉)의 딸 | |
궁인 | 쿠나이쿄노츠보네(宮内卿局) 후지와라씨(藤原氏) | 후지와라노 노리미츠(藤原 範光)의 딸 | |
궁인 | 후지와라씨(藤原氏) | 승려 켄손(兼尊)의 딸 | |
궁인 | 사쿄다이후노 츠보네(左京大夫局) 미나모토씨(源氏) | 승려 쇼엔(証遍)의 딸 | |
궁인 | 단바노 츠보네(丹波局) | ||
자녀 | |||
신분 | 이름 | 출생-사망 | 비고 |
황녀 | 하루코(슌시) 여왕(春子 女王) | 1210년 - 1230년 | |
황녀 | 오기마치인(正親町院) 카쿠시 내친왕(覚子 内親王) | 1213년 - 1285년 | |
제1황자 | 토닌 법친왕(道仁法親王) | 1209년 - 1263년 | |
제2황자 | 손슈 법친왕(尊守法親王) | 1210년 - 1260년 | |
제3황자 | 토엔 법친왕(道円 法親王) | 1210년 - 1240년 | |
제4황자 | 닌죠 법친왕(仁助 法親王) | 1215년 - 1262년 | |
제5황자 | 세이닌 법친왕(静仁 法親王) | 1216년 - 1296년 | |
제6황자 | 손쇼 법친왕(尊助 法親王) | 1217년 - 1290년 | |
제7황자 | 쿠니히토 친왕(邦仁 親王) | 1220년 - 1272년 | |
제8황자 | 사이닌 법친왕(最仁 法親王) | 1227년 - 1295년 | |
황녀 | 히데코(슈시) 여왕(秀子 女王) | ||
황녀 | 노부코(신시) 여왕(信子 女王) | ||
황녀 | 아키코(긴시) 내친왕(曦子 内親王) | 1224년 - 1262년 | |
황녀 | 토모코(치시) 여왕(知子 女王) | ||
황녀 | 쿠도코(쥰시) 내친왕(諄子 内親王) | ? - 1260년 | |
황녀 | 고레코(젠시) 여왕(是子女王) | ||
황자 | 조닌(増仁) | ||
황자 | 카이손(懐尊) | ||
황자 | 세키에(寂恵) |
4. 연호
쓰치미카도 천황 재위 중 사용된 연호는 다음과 같다.[12]
순서 | 연호 | 연호 사용 시작 날짜 | 연호를 바꾼 날짜 |
---|---|---|---|
1 | 겐큐 (建久일본어) | (즉위: 1198년 1월 11일) | 1199년 4월 27일 |
2 | 쇼지 (正治일본어) | 1199년 4월 27일 | 1201년 2월 13일 |
3 | 겐닌 (建仁일본어) | 1201년 2월 13일 | 1204년 2월 20일 |
4 | 겐큐 (元久일본어) | 1204년 2월 20일 | 1206년 4월 27일 |
5 | 겐에이 (建永일본어) | 1206년 4월 27일 | 1207년 10월 25일 |
6 | 조겐 (承元일본어) | 1207년 10월 25일 | (퇴위: 1210년 11월 25일) |
주(註): 표의 모든 날짜는 음력(陰歷)임. |
5. 평가 및 기타
일련(日蓮)은 쓰치미카도 천황의 아들이라는 설이 있으나 정설은 아니다.[1] 쓰치미카도 천황은 도사, 아와로 유배되었기에, '''도사원(土佐院)''', '''아와원(阿波院)'''이라는 별칭이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Imperial Household Agency
http://www.kunaicho.[...]
[2]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1959
[3]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1834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The Economic Aspects of the History of the Civilization of Japan
https://books.google[...]
2004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웹사이트
Genealogy
https://reichsarchiv[...]
2010-04-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